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아이패드 필기
- deep learning
- 하나은행
- 하나은행 인턴
- 논문 필기
- 프로그래머스
- 아이패드 필기어플
- GPU
- 딥러닝
- 아이패드 노트쉘프
- 파이썬
- 아이패드 논문 필기
- Python
- 필기 어플
- liquid text
- 아이패드
- 아이패드 noteshelf
- 주석 단축키
- TensorFlow
- 2022 하나은행 인턴 후기
- pytorch로 시작하는 딥러닝
- Noteshelf
- 노트쉘프
- 리퀴드텍스트
- 아이패드 논문
- pytorch
- 하나은행 공채
- windows10
- 굿노트
- 하나은행 인턴 후기
- Today
- Total
Azure Zest
[ Level 2 ] 튜플 - 파이썬 본문
문제 설명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(a1, a2, a3, ..., an)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-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-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-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-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-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[제한사항]
- 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- 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-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-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[입출력 예]
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3(111, 20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11}, {111,20}}이 되며, 이는 {{20,111},{111}}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4(123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123}} 입니다.
입출력 예 #5(3, 2, 4, 1)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{{3},{3,2},{3,2,4},{3,2,4,1}}이 되며, 이는 {{4,2,3},{3},{2,3,4,1},{2,3}}과 같습니다.
주어진 문장을 잘 인덱싱하는 게 중요한 문제인 것 같고, 다음 두 과정을 통해 풀었다.
1. 주어진 문장을 각 글자대로 넣어서 새로운 리스트 생성하기
2. 리스트를 길이로 배열하여 차례대로 돌면서 없는 값을 넣어주어 결과 찾기
1번의 경우, 먼저 {{}} 으로 주어지는 값중 제일 바깥쪽의 {}은 필요 없으므로 반복문에서 둘을 제외하고 순환하도록 했다.
그리고 '{'와 ',' 다음으로 시작하는 문자의 인덱스 값을 저장해두고, '}'나 ','로 닫힐 때 임시 리스트안에 요소를 추가하였다.
시작하는 문자의 인덱스 값을 정해둔 이유는 한 자리수면 else로 처리했겠지만, 111과 같은 두 자리, 세자리 이상의 숫자를 처리하기 위해서이다.
2번은 단순히 key와 람다를 이용해서 길이를 통해 정렬하고, 길이가 짧은 요소부터 순환하면서 정답 리스트에 요소가 안들어가 있으면 추가하였다. (길이가 제일 긴 요소를 그냥 넣으면 되는 게 아니라, (a1), (a1,a2), (a1,a2,a3) .. 의 순서로 요소가 정렬 되어야하기 때문)
이를 거친 정답 코드는 다음과 같다.
def solution(s):
tup = []
s = list(s)
tmp, ck = [], 1
for i in range(1,len(s)-1):
if s[i] == "}":
tmp.append(int(''.join(s[ck:i])))
tup.append(tmp)
tmp = []
elif s[i] == "," and s[i-1] != "}":
tmp.append(int(''.join(s[ck:i])))
elif s[i-1] == "," or s[i-1] == "{":
ck = i
tup = sorted(tup, key = lambda x:len(x), reverse = False)
answer = []
for i in range(len(tup)):
for j in range(len(tup[i])):
if tup[i][j] not in answer:
answer.append(tup[i][j])
return answer
'프로그래머스 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Level 2 ] 수식 최대화 - 파이썬 (0) | 2022.07.02 |
---|---|
[ Level 2 ] 뉴스 클러스터링 - 파이썬 (0) | 2022.07.02 |
[ Level 2 ] 괄호 변환 - 파이썬 (0) | 2022.07.02 |
[ Level 2 ] 메뉴 리뉴얼 - 파이썬 (0) | 2022.07.02 |
[ Level 2 ] 행렬 테두리 회전하기 - 파이썬 (0) | 2022.07.02 |